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선감마을대부도 입구에 위치한 아름다운 어촌 대부도 입구에 위치한 아름다운 어촌, 선감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푸른 바다와 나지막한 산이 동네를 감싸 안은 풍경이다. 선감마을의 앞바다는 조수간만의 차가 크고 간척지가 넓어 갯벌체험장으로 유명하다. 물놀이체험, ATV체험, 서버이벌게임 등 다채로운 체험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수도권에서 멀지 않은 안산에 있어 어린이동반 가족여행지로 제격인 곳이다. 갯벌체험을 하기 위해서는 마을에서 3Km 가량 떨어진 갯벌로 선감마차라는 트랙터를 타고 이동한다. 선감마을의 자랑, 조개잡이 체험이다. 호미로 조금만 파헤쳐도 실한 조개가 한가득 나온다. 조개뿐 아니라 선감마을의 특산물인 낙지, 박하지 등도 잡힌다. 국내 제일의 방조제로 연결되어 뭍으로 변한 선감어촌체험마을! 멀리서 보면 섬 같지 않고 큰 언덕처럼 보인다고 하여 부르기 시작한 대부도는 섬임입니다. 대부도 바닷가에는 선창과 경관 좋은 곳이 많아 색다른 드라이브를 즐길 수 있어 주말이면 많은 관광객들로 붐비며, 대부도 가는 길목에 있는 선감도는 높은 산 위에 있는 정결한 바위에 신선이 내려와 맑은 물로 목욕을 하였다고 하여 불러졌다고 합니다. 선감마을은 푸른 바다와 야트막한 산들이 어우러져 그림 같은 전경을 자랑하며, 간만의 차이가 크고 완만한 간척지가 넓게 펼쳐져 있어 어린이들도 안심하고 조개류를 채취할 수 있고, 해양생태계도 자연스레 배울 수 있는 곳입니다. 다양한 체험들도많아 가족,연인,단체가 함께 즐길수 있는 곳 입니다. 주위에 염전이 산재에 있어 학생들의 체험실습장으로 활용되고 있고, 인근에 있는 선감청소년수련원은 해양, 항공, 산악 등 각종 레저스포츠 시설을 두루 구비하고 대부바다향기 수목원이 있어 온 가족이 함께 즐기며 , 더위를 피하기에 적당한 장소입니다. 선감마을은 자연적 바닷가 경관을 지니고 있고, 교통편이 편리하여 당일코스로 조용하게 쉬어가기에 알맞은 마을입니다. 마을이 변해온 자취 고려시대부터 선감미도로 표기되어 왔습니다. 1913년 남양군이었던 대부면을 부천군으로 편입할 당시 불도와 탄도를 합하여 선감1리로 하였다가 1961년 법정리를 행정리로 분할 하면서 선감도를 건감1리, 불도와 탄도를 선감2리로 하였습니다. 마을 전설 선감도 높은 산 위에 정결한 바위가 있어 이 바위에 신선이 내려와 노닐었다하여 선암도라고 했다가 후에 선감도로 바뀌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옛날에 속세를 떠나 선경에 살며 구름과 학을 벗하고 불로장생을 하며 신변자재를 한다는 신선이 내려와서 맑은 물로 목욕을 했다하여 선감도로 불리웠다고 합니다. 기타 마을정보 - 가구수(어가) : 65가구 140명 - 주요시설물 : 팔각정, 벤치, 야외화장실 - 주요 특산물 : 바지락, 낙지, 숭어, 소라
-
안도마을전남 여수시 남면 안도에 위치하고 있는 섬마을인 안도어촌체험마을 안도어촌체험마을은 호수같은 수로가 섬 서쪽을 감싸고 있는데 얼핏보면 한반도와 흡사하여 ‘한반도를 품은 호수마을’이라고 불리고 있는 곳이다. 안도섬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아름다운 금오열도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둘러싸여 있어 신비감마저 들게 하는 아름다운 마을이다. 마을의 체험거리로는 가두리, 갯바위 및 선상낚시체험, 정치망체험, 슬로우 푸드체험, 신석기 문화체험, 자연동백섬체험이 있다. 특산품으로는 전복, 해삼, 돌멍게, 소라와 돔, 우럭과 같은 자연산 어류가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리에 있는 섬 [명칭유래] 섬의 형태가 기러기 모양과 같다고 하여 ‘기러기 안(雁)’ 자를 써 안도(雁島)라고 하다가 1910년 안도(安島)로 개칭되었다. 섬 가운데 자연호가 형성되어 천혜의 선박피난소로 사용되고 있다. 입구는 좁고 들어갈수록 넓어져 S자형으로 선박이 안전 피항할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안도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최고봉인 중앙의 상산[207m]을 비롯하여 섬 전체가 산지를 이루나,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안도의 주도인 동쪽 섬과 서쪽 섬이 서고지라 부르는 좁은 사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사주의 북쪽은 안도만(安島灣), 남쪽은 이야만(以也灣)에 해당된다. 또한, 북동쪽에 백금만(白金灣)이 있고, 곳곳에 돌출부가 발달하여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하다. 만안에 펼쳐진 일부 사빈해안을 제외하면 암석 해안이 대부분이며, 특히 동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했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현황] 838년에서 848년까지 10년에 걸쳐 당나라를 순례한 일본 천태종의 3대 좌주 자각대사 원인(圓仁)[794~864]의 일기체 기록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에서 머물다 간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여수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약 34㎞ 떨어져 있으며, 해안선 길이는 3.5㎞이다. 면적은 3.96㎢이다. 어업 인구가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며, 그밖에는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인 고구마와 보리는 생산량이 많아 농업협동조합 수매가 이루어지며, 무·시금치·마늘·쌀 등도 약간씩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장어·삼치·잡어·갈치·오징어 등이 잡히며, 대규모의 전복 양식과 자연산 김·미역·톳 등이 채취된다. 안도마을을 비롯한 해안 일대에 취락이 분포하며, 북쪽 만안은 선박 대피소로 이용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백금만에 발달한 사빈은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여수시에서 출발하는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
마시안마을마시안마을 어촌계는 2014년부터 지자체의 허가를 받아 어촌계 주민, 어르신들과 함께 마시안해변 일대 갯벌체험마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시안해변은 서울/수도권에 인접하였음에도 해양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는 갯벌생태 체험장으로서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가 높다고 하는데요. 특히, 마시안해변에서는 갯벌체험 뿐 아니라 어전임통(맨손 고기잡이 체험)이나 학교의 자연체험학습 및 지자체/기업단체 등을 위한 다양한 단체 체험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여러분의 문의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리고요. 앞으로도 이 곳 마시안해변에서 즐거운 추억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함께하시는 많은 분들과 함께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
백사마을백사마을은 고깔모양의 강진만 중심부에 위치하며, 앞바다에 흰모래가 많아 하얀 모래마을이다. 백사마을 입구에서 체험장으로 가는 길은 영화나 드라마 배경으로 어울릴 법한 벚꽃나무가 줄지어 있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백사 바지락이라고 하면 알아줄 정도로 백사마을에는 바지락, 꼬막, 석화가 풍부하며, 갯벌체험을 즐길 수 있다. 백사마을 위치 및 환경 면 소재지로부터 서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군 소재지로부터는 남으로 20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서쪽도 바다에 인접하고 있으며 바다를 제외한 주위는 농경지이다. 대구천이 마을을 뒤로하여 바다로 유입되어 농사에 다소 도움이 되며 북으로 미산, 동으로는 수동 마을이 인접하고 있다. 이웃하고 있는 면소재지인 '수동'으로 국도 23호선이 지나고 있어 교통이용은 매우 편리하다. 마을 연혁 문헌 상에서 마을 명칭이 처음으로 나온 곳은 1789년 “호구총수”이며, 백사경이라 나타나 있다. 1912년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는 백사리, 1917년 “조선면리동일남”에는 사당리 중 당전, 수동, 미산, 백사리 일부와 수동리에 수동, 백사리 일부로 되어 있다. 1922년 “강진군지” 에도 백사(수동리 중 수동)가 나타나 있고 사당리에 당전, 수동, 미산, 백사가 있다. 1967년 이후의 기록으로는 현재와 같이 확실하게 정리되어 있다. 아백사리가 수동에 있는 것은 행정구역 상 대구초등학교쪽의 수동리 번지에 해당된 곳이 수동리와 백사로 분리된 것으로 보인다. 1976년 강진군이 발행한 마을 유래지에서는 고려시대 때 대구에서 만들어 낸 청자기를 수출하는 수출항 역할을 백사마을이 하였을 것으로 추측한다. 앞바다에 흰모래가 많아 백사라했다고 한다. 이조 19대 1674년 “달성서씨”가 처음 터를 잡았다고 전해지며, 영조 2대에 “창원황씨”가 입주하여 백사로 이름지었다고 기술되어 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예비 귀어인 어촌생활 공모전(~5.9) 2022-04-18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선정 결과 알림 2022-04-12
- 바다해설사 교육대상자 선발결과 발표 연기 알림(4.5 > 4.12) 2022-04-04
- 2022년 바다해설사 신규양성 교육대상자 모집 공고(3.15~30) 2022-03-14
- 2021년 어촌체험휴양마을 별점현황 안내 2021-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