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제부마을화성시 제부도에 위치한 제부어촌체험마을 경기도 화성시 서해안에 위치한 작은섬 제부도는 옛날부터 육지에서 멀리 바라보이는 작은섬이라는 뜻으로 저기섬에서 저비섬, 접비섬으로 변천되었습니다. 육지와 섬사이의 갯고랑을 노인은 부축하고 어린아이는 업고 건너 다녔다하여 제약부경이라 하였습니다. 일제시대 이후 행정구역 재개편으로 "제"자와 "부"자를 따서 제부도라 칭하게 되었습니다. 면적 971㎢에 해안선 길이 12km에 불과해 여의보도다 작은 섬이지만 주말이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입니다. 제부어촌체험휴양마을은 하루에 두번 바닷길이 갈라지는 모세의 기적현상이 일어나 밀물 때가 되면 섬이 되고 썰물 때가 되면 육지가 되는 곳으로 썰물 때에 바닷길로 통행이 가능하게 됩니다. 제부도에 오시면 비린내라던지 바닷가 특유의 냄새가 그리 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 이유는 고깃배가 거의 없고 맨손어업을 하며 낙지나 바지락, 새꼬막, 소라 등 패류나 꽃게, 박하지 등의 갑각류를 잡거나 김 양식을 하기 때문입니다. 제부도는 사방이 오픈되어 있다보니 누구나 마음대로 바다에 들어갈 수 있다 생각하시는데 해안선으로부터 150m까지만 허용이 되고 그 이상은 마을어장이므로 들어가시면 무단입어자가 됩니다. 또한 수산동식물을 남채할 경우는 수산법에 적용되므로 유어는 승인되어진 유어장에서 즐기셔야 한답니다.
-
지족마을지족어촌체험마을로 향하는 창선교 경남 남해에 위치한 지족어촌체험마을은 자연경관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지족해협에는 오래 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전통어업법인 죽방렴이 있는데 창선교와 함께 남해 12경 중 4경에 속한다. 물속에 비추어진 빨간 창선교와 죽방렴의 어울림은 인간과 자연의 아름다운 조화라 할 수 있다. 지족해협은 손도라고도 하는데 이는 목이 좁은 바닷길이라는 뜻이다. 밀물과 썰물이 심한 지족해협은 양식에 적합하지 않은 환경이어서 이곳에서 나는 굴과 바지락, 멸치는 모두 자연산이다. 한편, 다양한 체험프로그램이 있어 즐길거리 또한 풍부하다. 삼동면 중심부의 면소재지 인근에 위치한 지족마을은 지족해협을 사이에 두고 창선면과 접하고 있으며, 창선교가 이어주고 있다. 지족해안도로를 따라 들어오면 남쪽 둥근 언덕이 꽃밭을 이루고 있다 하여 화전등(花田嶝)이라고 부르며, 마을 해안이 둥근 반달모양으로 형성되었다 해서 "달반월"이라 부르고 있다. 지족해협의 깊이는 10m가 못 된다. 썰물일 때면 지족해협은 그 옛날 창선과 하나의 섬이라는 걸 입증 이라도 하듯 바닥을 드러낸다. 영동시가 되면 지족갯마을에는 바닷길이 열리게 되어 손에 잡힐 듯 바라다 보이던 장구섬, 농가섬을 걸어 갈 수 있는 행운을 얻게 된다. 쌀쌀한 겨울 태양이 수면아래로 떨어질 때면 노을이 지면서 주변도 서서히 붉어진다. 죽방렴의 긴 장대 그림자가 얕은 파도에 일렁거리면 장구섬이 한층 더 큰 그림자로 다가온다. 뚜렷한 명암과 원근감. 그리고 붉은 채색. 어느 하나도 놓칠 수 없는 광경이다. 지족어촌체험마을의 남해 4경 싱싱한 굴, 졸깃졸깃한 바지락, 갖은 양념으로 무친 멸치회를 한번 먹어본 사람들은 그 맛을 잊지 못해 매년 찾게 된다. 그 맛은 아름다운 갯마을과 함께 하기에 더 맛있지 않을까.
-
가경주마을가경주 마을은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 위치하고있으며 아늑하고 자연경관이 아름다워 가경주라고 불리우고 있습니다. 넓고 풍부한 갯벌에서 바지락과 굴, 쏙 그리고 낙지 등 다양한 생물들을 직접 눈으로 보고, 남녀노소 상관없이 직접 도구를 이용하여 채집하는 갯벌 체험도 할 수 있으며, 바닷물이 차있는 시간 동안에는 선상낚시를 통해 갯벌과는 또 다른 재미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아름다운 풍경과 함께하는 다양하고 색다른 체험들이 가득한 가경주체험마을을 방문하셔서 가족들과, 혹은 연인과, 친구들과 즐거운 추억을 남겨가세요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2023년 어촌 유휴시설 활용 海드림 사업 공모 계획 안내 2022-07-28
- 국가어항 디지털 사진 영상 공모전 2022-07-11
- 세계 각국 청년들, 어촌체험휴양마을로 모여라 2022-07-11
- 올해 일등어촌은 어디?…어촌관광 등급결정 현장조사 실시 2022-07-11
- 2022년 어촌체험휴양마을 안전·위생 교육 개요 2022-0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