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초기화
맞춤형 체험 검색
어촌체험휴양마을 더보기
바다여행에서 추천하는 체험마을을 만나보세요.-
안도마을전남 여수시 남면 안도에 위치하고 있는 섬마을인 안도어촌체험마을 안도어촌체험마을은 호수같은 수로가 섬 서쪽을 감싸고 있는데 얼핏보면 한반도와 흡사하여 ‘한반도를 품은 호수마을’이라고 불리고 있는 곳이다. 안도섬은 다도해해상국립공원과 아름다운 금오열도의 일부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섬 전체가 기암괴석으로 둘러싸여 있어 신비감마저 들게 하는 아름다운 마을이다. 마을의 체험거리로는 가두리, 갯바위 및 선상낚시체험, 정치망체험, 슬로우 푸드체험, 신석기 문화체험, 자연동백섬체험이 있다. 특산품으로는 전복, 해삼, 돌멍게, 소라와 돔, 우럭과 같은 자연산 어류가 있다.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리에 있는 섬 [명칭유래] 섬의 형태가 기러기 모양과 같다고 하여 ‘기러기 안(雁)’ 자를 써 안도(雁島)라고 하다가 1910년 안도(安島)로 개칭되었다. 섬 가운데 자연호가 형성되어 천혜의 선박피난소로 사용되고 있다. 입구는 좁고 들어갈수록 넓어져 S자형으로 선박이 안전 피항할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안도라 부르게 되었다. [자연환경] 최고봉인 중앙의 상산[207m]을 비롯하여 섬 전체가 산지를 이루나, 비교적 경사가 완만하다. 지질은 중생대 백악기 중성화산암류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안도의 주도인 동쪽 섬과 서쪽 섬이 서고지라 부르는 좁은 사주로 연결되어 있고, 이 사주의 북쪽은 안도만(安島灣), 남쪽은 이야만(以也灣)에 해당된다. 또한, 북동쪽에 백금만(白金灣)이 있고, 곳곳에 돌출부가 발달하여 해안선의 드나듦이 복잡하다. 만안에 펼쳐진 일부 사빈해안을 제외하면 암석 해안이 대부분이며, 특히 동쪽 해안은 해식애가 발달했다. 기후는 대체로 온화하고 비가 많이 내린다. [현황] 838년에서 848년까지 10년에 걸쳐 당나라를 순례한 일본 천태종의 3대 좌주 자각대사 원인(圓仁)[794~864]의 일기체 기록인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에는 전라남도 여수시 남면 안도에서 머물다 간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여수 시내에서 남동쪽으로 약 34㎞ 떨어져 있으며, 해안선 길이는 3.5㎞이다. 면적은 3.96㎢이다. 어업 인구가 전체 인구의 40%를 차지하며, 그밖에는 농업과 어업을 겸하고 있다. 주요 농산물인 고구마와 보리는 생산량이 많아 농업협동조합 수매가 이루어지며, 무·시금치·마늘·쌀 등도 약간씩 생산된다. 연근해에서는 장어·삼치·잡어·갈치·오징어 등이 잡히며, 대규모의 전복 양식과 자연산 김·미역·톳 등이 채취된다. 안도마을을 비롯한 해안 일대에 취락이 분포하며, 북쪽 만안은 선박 대피소로 이용된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에 속하며, 백금만에 발달한 사빈은 해수욕장으로 이용된다. 여수시에서 출발하는 정기 여객선이 운항된다.
-
장사마을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장사어촌체험마을 강원도 속초시 북쪽에 자리하고 있는 장사어촌체험마을은 자연석호인 영랑호와 인접해 있고, 영금정 속초 등대 전망대 등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합니다. 해안가로는 관광객의 입맛을 돋우는 횟집타운이 소재하고 있어 싱싱한 동해의 회 맛을 즐길 수 있으며, 해안에는 전복과 가리비 등 유용 수산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어업체험이 가능한 마을입니다. 장사어촌체험마을은 맑고 푸른 동해바다의 작은 포구마을의 어촌계입니다. 특히 장사어촌체험마을은 오징어 맨손잡기축제를 2000년부터 매년 개최하면서 오징어 마을로 알려졌습니다. 최근에는 오징어맨손잡기 및 시식, 오징어해부, 오징어먹물 글씨쓰기(오적어 묵계), 오징어 스토리텔링 등 오징어에 관한 다양한 패키지(테마) 체험을 실시해 '오징어 마을'로 이미지를 굳혀가고 있습니다. 또한 해조류표본만들기, 재래식게잡이체험, 소형통발에 의한 해양생물채집 및 관찰 체험 등으로 구성된 해양생물 체험교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08년 7월에 준공한 자연산 활어 직판장에서 어업인이 갖잡아 올린 자연산 회를 즐길 수있고, 자연산활어 위판장에서 중매인에게 수수료를 주고 자연산활어 경매체험을 즐길 수 있습니다.
-
은점마을삼동면 은점마을은 3백여년 전 이조 중엽에 경주 최씨 한 집이 국수산 자락에 터를 잡은 것이 시초다. 이어 전주 이씨, 금산 김씨, 경주 이씨, 단양 우씨 들이 뒤따라 들어오면서 집이 늘어나고, 화전민처럼 산자락을 따라 밭과 논을 일구며 농경에 의존했다. 그러다가 차츰 먹을거리가 풍부한 바다 쪽으로 세를 넓혀가며 큰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오른쪽 바닷가에 '은굴'이라는 동굴이 있다. 사라호 태풍 때 무너지고 박쥐만 퍼득이는 이 굴은 이름처럼 은이 많이났다고 한다. 이곳에서 캐낸 은을 거래하던 가게가 있었다 하여 마을 이름을 '은점'이라 했다. 3백살 넘은 기목나무가 세찬 겨울 해풍을 맞받으며 의연히 서 있는 바닷가. 닻을 내린 50여척의 배들이 서로 몸을 기댄 채 출어를 기다리고 지천으로 깔린 몽돌밭에서는 봄날을 재촉하는 어부들의 억센 손이 그물코를 여미느라 쉴틈이 없다. 간간히 담장 너머 콜럭이는 기침소리만 들리는 조용한 마을. 그러나 따뜻한 기운에 마른 기침이 멎을 때면 마을은 청년처럼 힘이 솟는다. 다른 마을들이 겨우내 늘어져 누웠던 소를 채근해 들판으로 나갈 때 은점 주민들은 파도를 가르며 바다로 향한다. 연신 멸치를 가득 실은 정치망과 홀치기 배가 항구로 찾아들고 어막에서 염포하는 연기가 하늘을 오른다. 할머니에서 손자까지 움직이는 일손은 모두 멸치 고르느라 여가가 없다. 예로부터 은점 멸치는 알아주는 멸치다. 잡을 때는 여느 마을 멸치나 마찬가지지만 말리는 과정에서 그 맛이 틀려진다. 은점멸치는 잡은 멸치를 대형 무쇠솥으로 옮겨 수백도의 불로 염포를 한 후 몽돌밭에 그물을 깔고 말린다. 햇볕을 품어 안은 몽돌의 기운에 햇살과 바람에 시나브로 건조돼 뛰어난 은점 멸치의 참맛이 배어나는 것이다. 은점에서 나는 마른 멸치의 인기 만큼이나 멸치액젓도 인기가 높다. 은점에는 멸치액젓 공장이 7개나 된다. 은점이 마른 멸치, 멸치액젓 가공으로만 연 3억원 이상 매출을 올리고 있다. 또한 마을 1종 공동지선에는 자연산 해삼과 전복이 잘 자라 년 1천만원 이상의 수입을 올린다. 그러나 어촌계는 공동지선 수익금은 개인 분배하지 않고 고스란히 마을 공동사업자금으로 쓴다. 보석이 되던 은 대신에 바다의 은빛 멸치를 잡으며 살아가는 은점 주민들은 심성 또한 바다처럼 넓고 푸르다. 해마다 정월대보름날에는 달맞이 행사와 풍어제를 개최하여 마을발전과 단합, 마을주민의 안녕을 기원하고 있으며 마을의 소규모 지역축제로 발전하고 있다.
테마여행 더보기
바다여행의 테마별 여행코스를 만나보세요.공지사항
더보기- 1교1촌 자매결연 '찾아가는 어촌체험교실' 참여학교 모집 2022-08-12
- 2023년 어촌 유휴시설 활용 海드림 사업 공모 계획 안내 2022-07-28
- 국가어항 디지털 사진 영상 공모전 2022-07-11
- 세계 각국 청년들, 어촌체험휴양마을로 모여라 2022-07-11
- 올해 일등어촌은 어디?…어촌관광 등급결정 현장조사 실시 2022-07-11